About
'찰칵', '찰칵', '찰칵'
지금의 ‘사진’은 무엇일까. 우리의 고민은 이것에서 시작되었다.
사진의 시작은 ‘기록’을 수행하는 매체였지만 지금의 사진은 ‘표현하는 수단’이자, 무언가를 해결하는 매체다. 사진은 최초 유럽에서 다큐멘터리적 기록, 인류학적 기록, 예술 수행의 기록과 같은 ‘기록’의 맥락으로 탄생하였다. 이후 미국의 거대 자본과 소비문화의 중심에서 광고, 저널리즘, 인쇄매체와 함께 ‘이미지 유통’의 맥락에서 급성장을 이루었으며, 일본의 버블 붕괴 이후 생겨난 문화적 전복, ‘포인트 앤 슛 카메라(자동 카메라)’, Pint Club(스티커 사진, 포토 부스)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변화를 맞이하며 창의적 발현의 한 스펙트럼으로서 화려하게 꽃을 피웠다. 이후 디지털카메라, 휴대폰과 카메라의 탄생, 대중화로 인해 급격하게 쇠퇴하여 급기야 종말이 오듯 막을 내렸다.
그러나 그렇게 막을 내렸다고 단언하기엔 이르다. 여전히 넘쳐나는 이미지들의 힘은 거대하고 또 빠르게 어디론가 흘러가고있다. 우리는 그 중심에서 다른 생각을 해보게 된다. 현재 사진이 종결된 사진의 역사 이후에 만들어진 새로운 흐름이라면, 그것을 만들어가는 이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어떤 문화를 배경으로 탄생하였으며, 어떤 미래를 혹은 어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인가. 아마도 그들은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뤄낸 사회와 세대 간에 갈등을 겪고, 인터넷과 기술에 몹시 가까우며, 동양의 정서와서양의 문화를 체화하고, 예술과 예술이 아닌 것 또는 다큐멘터리, 대중, 상업, 저널리즘과 같은 기존의 사진 범주에서 벗어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카메라(핸드폰)가 신체의 한 부분이 되어버린 그들과 그들이 만들어내는 세상, 사진은 그 문맥이 기존과는 전혀 다를 것이다. 우리는 그들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나타난 ‘새로운 돌연변이'라 가정하며 그들을 추적하고자한다. 그러한 관찰을 통해 사진의 종결 이후의 세상을 상상해보고자 ‘찰칵’을 시작한다.
편집장 이지영
Click! Snap! Click!
What is "photography" today? All our questions began from this very inquiry.
Photography, which began as a medium of 'recording,' is today a means of expression and a medium of solution. It first emerged in Europe as 'records' such as documentaries, anthropological findings, and records of artistic performances. It then experienced rapid growth in the context of 'image distribution' in conjunction with the boom of advertisement, journalism, and print media centered around massive American capital and consumer culture. Post-Bubble cultural subversions in Japan and such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the point-and-shoot camera (compact camera) and purikura (print club, photo sticker booths, and photo booths) enabled photography to blossom and be recognized as a type of creative manifestation. The birth and popularization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cameras, be that as it may, led photography to draw down its curtain.
It is yet too early to declare the demise of photography. There continues to be an overabundance of images. Images still hold tremendous power. Although uncertain of their destinations, they are flowing in fast-moving waters. Standing in the center of all this, the creators of this magazine pose different questions. Is the photography of the present a new wave of photography created after the end of photography? If so, who are the makers of this wave? What cultural backdrops produced this generation of photographers? What kind of future or present do they live in?
They may clash with the society and generation that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They are likely to be highly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technology. They would have Eastern ways of thinking while taking in Western cultures. Their work cannot be categorized into art or non-art. It would not be bound by the existing photography categories such as documentary, popular culture photography, industrial photography, journalism, and others. Inevitably, the world and the images they create will demand an entirely new frame of reference as they are a generation who have become indivisible with cameras (mobile phones). The creators of this magazine consider these photographers as the 'new mutants' born in Asia and attempt to pursue their tracks. Through our investigation, we launch "Chalkak!" to envision a world after the end of photography.
From the Editor-in-chief
지금의 ‘사진’은 무엇일까. 우리의 고민은 이것에서 시작되었다.
사진의 시작은 ‘기록’을 수행하는 매체였지만 지금의 사진은 ‘표현하는 수단’이자, 무언가를 해결하는 매체다. 사진은 최초 유럽에서 다큐멘터리적 기록, 인류학적 기록, 예술 수행의 기록과 같은 ‘기록’의 맥락으로 탄생하였다. 이후 미국의 거대 자본과 소비문화의 중심에서 광고, 저널리즘, 인쇄매체와 함께 ‘이미지 유통’의 맥락에서 급성장을 이루었으며, 일본의 버블 붕괴 이후 생겨난 문화적 전복, ‘포인트 앤 슛 카메라(자동 카메라)’, Pint Club(스티커 사진, 포토 부스)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변화를 맞이하며 창의적 발현의 한 스펙트럼으로서 화려하게 꽃을 피웠다. 이후 디지털카메라, 휴대폰과 카메라의 탄생, 대중화로 인해 급격하게 쇠퇴하여 급기야 종말이 오듯 막을 내렸다.
그러나 그렇게 막을 내렸다고 단언하기엔 이르다. 여전히 넘쳐나는 이미지들의 힘은 거대하고 또 빠르게 어디론가 흘러가고있다. 우리는 그 중심에서 다른 생각을 해보게 된다. 현재 사진이 종결된 사진의 역사 이후에 만들어진 새로운 흐름이라면, 그것을 만들어가는 이들은 누구인가, 그들은 어떤 문화를 배경으로 탄생하였으며, 어떤 미래를 혹은 어떤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인가. 아마도 그들은 급격한 경제 성장을 이뤄낸 사회와 세대 간에 갈등을 겪고, 인터넷과 기술에 몹시 가까우며, 동양의 정서와서양의 문화를 체화하고, 예술과 예술이 아닌 것 또는 다큐멘터리, 대중, 상업, 저널리즘과 같은 기존의 사진 범주에서 벗어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카메라(핸드폰)가 신체의 한 부분이 되어버린 그들과 그들이 만들어내는 세상, 사진은 그 문맥이 기존과는 전혀 다를 것이다. 우리는 그들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나타난 ‘새로운 돌연변이'라 가정하며 그들을 추적하고자한다. 그러한 관찰을 통해 사진의 종결 이후의 세상을 상상해보고자 ‘찰칵’을 시작한다.
편집장 이지영
Click! Snap! Click!
What is "photography" today? All our questions began from this very inquiry.
Photography, which began as a medium of 'recording,' is today a means of expression and a medium of solution. It first emerged in Europe as 'records' such as documentaries, anthropological findings, and records of artistic performances. It then experienced rapid growth in the context of 'image distribution' in conjunction with the boom of advertisement, journalism, and print media centered around massive American capital and consumer culture. Post-Bubble cultural subversions in Japan and such technological innovations as the point-and-shoot camera (compact camera) and purikura (print club, photo sticker booths, and photo booths) enabled photography to blossom and be recognized as a type of creative manifestation. The birth and popularization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cameras, be that as it may, led photography to draw down its curtain.
It is yet too early to declare the demise of photography. There continues to be an overabundance of images. Images still hold tremendous power. Although uncertain of their destinations, they are flowing in fast-moving waters. Standing in the center of all this, the creators of this magazine pose different questions. Is the photography of the present a new wave of photography created after the end of photography? If so, who are the makers of this wave? What cultural backdrops produced this generation of photographers? What kind of future or present do they live in?
They may clash with the society and generation that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They are likely to be highly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technology. They would have Eastern ways of thinking while taking in Western cultures. Their work cannot be categorized into art or non-art. It would not be bound by the existing photography categories such as documentary, popular culture photography, industrial photography, journalism, and others. Inevitably, the world and the images they create will demand an entirely new frame of reference as they are a generation who have become indivisible with cameras (mobile phones). The creators of this magazine consider these photographers as the 'new mutants' born in Asia and attempt to pursue their tracks. Through our investigation, we launch "Chalkak!" to envision a world after the end of photography.
From the Editor-in-chief